본문 바로가기

우표와 수집/재한일본

(9)
1904년 4월 30일 (明治37年 4月30日) 호도국(虎島局) 🧾 러일전쟁기 군사우편 엽서 요약📌 기본 정보발신일: 1904년 4월 30일 (明治37年 4月30日)발신지: 조선 함경남도 호도반도(虎島半島) 소재 호도국(虎島局)우편종류: 軍事郵便 (군사 우편)📮 발신자 정보이름: 이노우에 겐지(井上健二)주소: 조선 함경남도 호도(虎島)발신 당시 상태: 민간인 또는 현지 주둔 인원으로 추정되며, 일본 육군과 일정한 관련 가능성 있음📬 수신자 정보이름: 가와사키 후미키(川崎文器)소속: 일본 육군 보병 제11사단(歩兵第十一師団)부서: 병참부대(輜重隊)수신 장소: 일본군 출정군 전방 병참지대 (정확한 위치 미상)🗺️ 역사적 맥락러일전쟁 발발 직후(1904년 2월), 일본군은 조선을 병참선으로 적극 활용.**호도반도(虎島半島)**는 동해 해상 병참로의 중간 기착지로 ..
1905(메이지38)년 한국.은산 영국해 Mr Show
1907(메이지40)년 韓.黃州(D란 扱) 접수 평양행 일본군 군사우편 📨 황주 발신 군사우편 엽서 요약 카드항목내용발신일명치 40년(1907년) 3월 30일발신지조선 황주우편국 (黃州郵便局)수신자평양 포로수용소 주둔, 유류과 병졸 하세가와(長谷川) 님엽서 유형군사우편 (軍事郵便) – 붉은 글씨로 표기, 요금 면제소인황주 → 평양 경유 우편소인 확인 가능발신자이름은 명시되지 않았으나, **수신자와 동일한 인물(하세가와)**이 자기를 수신자로 하여 제3자를 통해 간접 발송한 것으로 추정됨엽서 내용 요지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전하는 안부와 보고. 당시 평양 주둔 상태에서의 군 복무 및 심경 등이 간략하게 담겨 있음. 검열을 염두에 둔 제한된 내용 가능성 큼특기사항- 수신처인 평양 포로수용소는 러일전쟁 이후 일본군이 일시적으로 운용한 군사시설일 가능성- 자기 자신에게 보내는 형식은..
메이지40(1907.1.1) 한・부산본정
메이지39(1906. 4. 8) 한・해주 - 경성(4.11)
메이지 39.6.9 한국 부산(한・해안)
1.5전 엽서 한국・목포 38년 2월 21일  → 부젠・시이다 → 부젠・소네 🏷️ 1905년 일제강점기 직전 조선–일본 간 엽서 해설1. 📮 엽서 개요형태: 일본 제국 양식 엽서발신일: 1905년(명치 38년) 2월 21일경도착일: 1905년(명치 38년) 2월 26일언어: 일본어 (일본식 한문체)시기: 대한제국 말기, 을사늑약 체결 전 (1905년)2. ✉️ 발신인 정보이름: 中曽國治 (중소 국치)발신지: 韓國 木浦 (한국 목포)우편도장:「韓國 木浦 郵便局 明治三十八年 二月廿一日」→ 목포우체국, 1905년 2월 21일자 소인3. 📬 수신인 정보이름: 渡邊卽九郎 殿 (와타나베 즉쿠로 )주소:周防縣 豐浦郡 川棚町 自由ヶ丘之内→ (스오오현 도요우라군 가와타나마치 지유가오카 지역)※ 오늘날 일본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 가와타나 지구에 해당도착 우편도장:「豊浦郡 川棚町 明治三十八年..
1908년.1.1 한국양근(한. 양근) →후쿠시마 군사 우편 일부인 실체편 조선 전쟁 전 자료